알렉스 쉬
1. 연구 개요
암호자산 거래 및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코인베이스. 브랜드 신뢰, 광범위한 사용자 기반, 제품 다각화, 규정 준수에 대한 초기 레이아웃을 통해 암호화폐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 배당금을 포착하는 핵심 목표 중 하나입니다.
특히:
규정 준수 운영의 오랜 역사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수많은 조직과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어 더 많은 기관 및 대중 고객층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구독, 이자 등 수익 다각화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이 더 이상 수수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되어 과거에 비해 순환 방지 능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재무상태는 건전하며 부채 비율이 낮고 장부에 현금이 풍부하여 기술 혁신, 해외 진출, 역풍 환경에서도 공격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완충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으로 대표되는 주권 국가들은 암호화폐에 대한 전반적인 규제에 관대해지고 혁신을 장려하는 경향이 있으며, 장기적인 업계 동향은 여전히 성장을 가리키고 있으며,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은 점점 더 주류 금융에 통합될 것으로 예상되며 코인베이스는 업계의 핵심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계 사이클에 따른 매출과 이익의 변동성은 이전 사이클보다는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기복을 피하기는 어렵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운영 및 재무 성과 섹션 6 참조). 이는 가장 최근 두 분기 수익 보고서에서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또한 코인베이스는 미국 자국 시장에서 Robinhood와 크라켄, 그리고 해외에서 바이낸스와 같은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과 같은 탈중앙화 거래소, 체인형 암호화폐 거래소와 직접 경쟁하는 등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 처해 있습니다. 유니스왑과 온체인 거래소 하이퍼리퀴드도 빠르게 성장하며 기존 거래소들의 시장 점유율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현재 상승 사이클에서 22년 최저치 대비 최대 11배 이상 상승하여 같은 기간 동안 BTC의 상승률을 훨씬 앞지르고 대부분의 암호화폐 자산을 능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당대의 경쟁적 도전과 기회에 모두 직면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는 민트벤처스의 코인베이스에 대한 첫 번째 보도이며, 앞으로 계속 추적할 예정입니다.
PS: 본 기사는 발행 당시 필자의 단계별 생각이며 향후 변경될 수 있으며, 견해는 매우 주관적이며 사실, 데이터 및 추론 논리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본 기사에 표현된 견해는 투자 조언이 아니며 동료 및 독자들의 비판과 추가 토론을 환영합니다.
2. 회사 개요
2.1 개발 역사 및 이정표
코인베이스는 다음과 같이 설립되었습니다. 2012년 브라이언 암스트롱과 프레드 어삼이 설립했으며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초창기에는 비트코인 중개 매매 서비스에 주력했으며, 2014년에는 뉴욕주에서 발급한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 라이선스(BitLicense) 중 하나를 받았습니다.
그 이후 코인베이스는 지속적으로 제품 영역을 확장하여 2015년에는 거래소 플랫폼인 코인베이스 거래소(이후 코인베이스 프로로 명칭 변경)를 출시하고 2016년에는 이더리움을 비롯한 다양한 암호화 자산의 거래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에는 암호화 자산 시장에 진출하여 다음을 인수했습니다. Earn.com 등을 인수하며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진출했고, 전 링크드인 임원 에밀리 최를 영입해 인수합병 확대를 주도했으며, 2019년에는 호스팅 업체 자포의 기관 사업부를 인수하며 호스팅 서비스 선두 자리를 공고히 했습니다. 같은 해 코인베이스의 기업 가치는 8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2021년 4월 14일에는 나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하여 암호화폐 업계 최초로 상장한 주요 거래소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거래소로 한 때 시가총액이 850억 달러가 넘었습니다. 상장 이후에도 계속해서 글로벌 레이아웃을 확장하고 제품군을 강화해 나갔는데, 2022년에는 선물 거래소 FairX를 인수하고 암호화폐 파생상품에 진출하여 NFT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했으며(이후 거래량이 급감했지만) 2023년에는 온체인 생태계인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베이스를 출시했습니다. 같은 해에 싱가포르, EU(아일랜드), 브라질에서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미국의 규제 문제를 해결했으며, 2025년에는 헤드라인 옵션 거래 플랫폼인 데리비트 인수를 공식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10년이 넘는 개발 기간 끝에 단일 비트코인 브로커에서 거래, 커스터디, 결제 등 모든 비즈니스를 포괄하는 암호화폐 금융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2.2 포지셔닝 및 목표 고객
코인베이스의 미션은 "글로벌 경제 자유 향상"이며, 누구나 공정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암호화폐 경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백 년 된 금융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폐 자산을 위한 원스톱 플랫폼으로, 사용하기 쉬운 상품으로 일반 대중을 끌어들이고 전문 투자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기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코인베이스는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객층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리테일 사용자: . 암호화폐 자산에 관심이 있는 개인 투자자 코인베이스는 주요 암호화폐 거래 외에도 사용자에게 수익 창출, 결제 및 기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월간 거래 사용자(MTU)는 2021년 4분기에 1,12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고, 2022~2023년에도 분기별 활성 사용자가 700만 명 이상을 유지했으며, 2025년 1분기에는 월간 활성 사용자가 약 920만 명, 2025년 2분기에는 약 900만 명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2분기 ~ 900만 명
기관 고객: 코인베이스는 2017년부터 기관 시장에 진출하여 헤지펀드, 자산운용사 등을 고객으로 코인베이스 프라임 중개 및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커스터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말까지 코인베이스는 글로벌 상위 100대 헤지펀드 중 10%를 포함하여 9,000개 이상의 기관 고객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기관 고객은 플랫폼 거래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2024년까지 약 81%), 낮은 수수료율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탁 수수료와 거래 수익을 창출합니다.
개발자 및 에코 파트너: 코인베이스는 개발자와 블록체인 프로젝트도 에코 고객으로 간주하고 "코인베이스 클라우드"(노드 서비스, API 인터페이스)와 같은 인프라와 투자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클라우드」는 인프라(노드 서비스, 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고, 투자 및 코인을 통해 신규 프로젝트와 협력합니다. 또한 코인베이스와 서클이 공동 출시한 스테이블코인 USDC는 코인베이스가 발행 파트너이자 메인 유통 플랫폼으로 서클의 스프레드 수익과 채널 수수료를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는 대중 친화적이고 기관의 신뢰를 받으며 시장의 소매와 기관을 연결하고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법정화폐와 암호화폐의 가교' 역할을 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3 지분 및 의결 구조
코인베이스는 나스닥에 상장되어 주당 1표의 클래스 A 보통주와 창립자 및 경영진이 주당 20표의 클래스 B 보통주를 보유한 이중 AB 지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클래스 A 보통주는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주당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설립자 겸 CEO인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약 2,348만 개의 클래스 B 주식을 소유하여 의결권의 64% 이상을 통제하고 있어 코인베이스는 고도로 통제된 회사입니다. 소수의 초기 투자자(예: 안드레센 호로위츠 등)도 일부 클래스 B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암스트롱은 2025년 중반에 자신의 클래스 B 주식 일부를 소규모 전환으로 매각했지만 여전히 약 4억 6960만 개의 클래스 A에 상응하는 투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클래스 B 주식은 언제든지 20:1 비율로 클래스 A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전환 시 회사의 총 자본은 약간 변경됩니다. 이러한 2단계 지분 구조는 창업팀이 회사의 전략적 방향을 통제할 수 있도록 보장하지만, 일반 주주가 기업 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는 고도로 중앙집권적인 지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창업자들이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어 회사의 장기 비전과 전략적 방향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3. 산업 분석
3.1 시장 정의 및 세분화
코인베이스가 운영하는 시장은 광범위하게 정의됩니다. 암호화폐 거래 및 관련 금융 서비스 시장입니다. 핵심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물 거래 시장: 암호화폐 자산의 구매 및 판매는 코인베이스의 주요 사업 범위이기도 합니다. 거래 대상에 따라 법정화폐 대 암호화폐(법정화폐 진입) 거래와 암호화폐 대 암호화폐 거래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고객 유형에 따라서는 소매 거래와 기관 거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 시장: 암호화폐 선물, 옵션 및 기타 레버리지 파생상품 거래를 포함합니다. 이 시장의 규모는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 상반기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량이 전체 거래량의 약 7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출처: 카이코).코인베이스는 파생상품 분야의 후발주자로 현재 규제된 선물 거래소와 해외 플랫폼을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커스터디 및 지갑 서비스: 대량의 암호화폐 자산을 보유한 조직과 개인을 위한 안전한 보관 솔루션입니다. 커스터디 시장은 거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고객들은 거래소에서 대규모 거래를 할 때 규정을 준수하는 커스터디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블록체인 인프라 및 기타: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유통, 블록체인 운영(베이스), 결제 및 정산, 담보(스테이킹) 및 기타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이 부분은 코인베이스가 USDC 스테이블코인, 노드 서약을 통해 이자 및 수수료 수입을 얻는 것과 같이 거래소의 수입원을 외부로 확장하는 부분입니다.
3.2 역사적 규모 및 성장률(최근 5년)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주기적으로 큰 변동을 겪어왔습니다. 거래량으로 측정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의 총 규모는 2017년 약 22조 9천억 달러에서 2021년 131조 4천억 달러로 급증했으며, 연평균 성장률도 매우 높았습니다. 이후 시장 침체로 인해 2022년에는 82조 달러(전년 대비 -37%)로 감소했고, 2023년에는 75조 6천억 달러로 소폭 감소했다가 2024년에는 새로운 시장 활동에 힘입어 2023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150조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 규모는 암호화폐 자산 가격 및 변동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상승장에서는 투기성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토큰의 가격이 급등하고 거래량이 전년 대비 +196% 가까이 증가한 반면, 2022년 하락장에서는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40% 가까이 급감하는 등 절벽과 같은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사용자 규모 측면에서도 전 세계 암호화폐 보유자 수는 시장 상황에 따라 등락을 거듭했지만, 대체로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Crypto.com의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암호화폐 사용자 수는 2018년 약 5천만 명에서 2021년 3억 명 이상으로 증가하다가 2022년에 다시 감소했다가 2023년 말에는 약 4억 명으로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베이스의 자체 비즈니스도 업계와 함께 성장했습니다. 거래량 측면에서 플랫폼 규모는 2019년 320억 달러에서 2021년 1조 6,700억 달러로 증가한 후 2022년 8,300억 달러로 줄어들고 2023년에는 4,680억 달러로 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활성 사용자 기준 활성 사용자 측면에서 코인베이스의 월간 거래 사용자는 2019년 100만 명 미만에서 2021년 연평균 900만 명으로 증가하다가 2022~2023년에는 분기 평균 700~900만 명으로 다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하면, 지난 5년간의 업계 규모는 중장기 성장에 있어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3.3 경쟁 환경 및 코인베이스 시장 점유율(최근 5년)
암호화폐 거래 산업에는 수많은 경쟁자가 있으며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인은 2018년 이후 가장 많이 거래되는 거래소로 급부상했습니다. 상승장이 절정에 달했을 때 글로벌 현물 시장 점유율은 한때 50%를 넘었으며, 2025년 초에도 약 38%로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다른 주요 업체로는 OKX, 코인베이스, 크라켄, 비트파이넥스, 그리고 한국의 업비트와 같은 지역 선두 업체들이 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신생 업체(예: 바이비트, 비트겟 등)도 상당한 점유율을 확보했으며, 코인베이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5~10% 사이에서 변동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상반기 코인베이스는 현물 거래량 기준으로 세계 상위 10개 거래소 중 약 7%를 차지할 것이며 이는 OKX, 바이비트 등과 대등한 수준입니다. 이에 비해 코인베이스의 점유율은 몇 배나 높습니다. 코인베이스는 미국 규제 준수 시장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토렌트 투기성 거래에 많이 관여하지 않으며, 그 결과 코인 제공에 더 공격적이고 거래량이 많은 플랫폼에 의해 글로벌 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코인베이스는 특히 미국 시장에서 법정화폐 컴플라이언스 시장에서 분명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2019년부터 미국 내 거래량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미국 현물 및 파생상품 시장 점유율을 더욱 높일 계획입니다. 경쟁사인 FTX가 2022년에 사업을 중단하면서 코인베이스의 미국 내 입지는 더욱 공고해졌습니다.
경쟁 환경 역학
지난 5년 동안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거래 플랫폼 시장 점유율이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로, 2022년 FTX 폭락 이후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은 한때 48.7%(1분기)에서 66.7%(4분기)로 상승했으나 이후 시장 점유율이 분산되기 시작했고 바이비트, OKX, 비트겟 등의 시장 점유율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이비트, 오케이엑스, 비트겟 등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시작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규제 강화로 인해 미국 국내 시장의 경쟁자가 줄어들고(코인베이스, 크라켄 등만 남음) 아시아 플랫폼(예: 한국의 업비트, 동남아시아의 게이트)이 부상하는 등 지역별 세분화가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의 업비트, 동남아시아의 게이트);
3.4 향후 5~7년간 산업 규모 및 성장률 전망
향후 5~7년간 암호화폐 거래 산업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업계는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성장 속도는 여러 요인과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업계 리서치 회사들의 보고서(스카이퀘스트/리서치앤마켓/피델리티/그랜드뷰 리서치)는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두 자릿수 연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본 시나리오(거시 환경이 안정적이고 규제 환경에 심각한 악화가 없다고 가정)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총 시가총액은 2030년까지 약 3조 달러에서 10조 달러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거래량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시장의 성숙에 따라 변동성은 감소하고 거래량 증가율은 연평균 약 15%로 시가총액 증가율보다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암호화폐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 가격 동향: 비트코인과 기타 주요 자산이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하며 시장의 빠른 성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하면 전체 시장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며, 가격 상승과 변동성 확대는 거래 활동을 자극하여 거래량을 증폭시킬 것입니다.
파생상품 보급: 파생상품은 이미 시장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기관 투자자들은 선물과 같은 헤지 상품을 선호하고, 리테일 쪽에서는 점차 레버리지 거래를 받아들여 전체 거래 규모를 확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30년까지 파생상품의 비중이 85%까지 증가하면 전체 거래량은 약 1.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기관 진입: 전통적인 금융기관(재무부, 은행 등)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넘어오면 수조 달러의 신규 자본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더 다양한 종류의 ETF가 승인되고 기관(ETF 주식을 포함해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이 허용되지 않는 기관이 여전히 많습니다), 국부 펀드 할당 등이 허용되면 시장의 깊이가 크게 확장될 것입니다. 이는 거래량과 수탁 수요의 동시 성장을 이끌 것이며, 피델리티 등은 기관 자금이 향후 몇 년 동안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 연간 수 천억 달러를 추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규제 명확성: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는 참여에 대한 우려를 줄이고 더 많은 참여자를 끌어들일 것입니다.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주요 경제권에서 합리적인 규제(예: 선진국의 광범위한 라이선스, ETF의 합법화 및 확대 등)가 시행되면 사용자 기반과 활동이 증가할 것이며, 비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규제 강화(예: 은행 지원 제한, 엄격한 자본 요건 등)가 있으면 시장이 제한적인 속도로 성장하거나 정체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볼 때, 미국에서 지니어스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정식으로 통과되고, 클라리티 법안이 하원에서 통과되어 그 시범 효과가 점차 글로벌 선진국 경제에 파급될 수 있다면 암호화폐 정책의 전반적인 명확성의 미래는 기대해 볼 만합니다.
시나리오 분할:2025~2030년 산업 규모를 예측하기 위해 세 가지 시나리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시나리오: 거시 경제가 안정되고, 주류 국가들이 우호적인 규제를 제정하지만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암호화폐 자산이 점차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받아들여진다고 가정합니다.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연평균 약 15%, 거래량은 약 12%씩 증가합니다. 2030년에는 전 세계 연간 거래량이 약 300조 달러에 달할 수 있으며, 코인베이스와 같은 헤드 컴플라이언스 플랫폼의 점유율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업계의 수익 규모(거래 수수료)도 거래량과 함께 성장할 것입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업계는 건전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거품이 끼어 있지는 않습니다.
낙관적 시나리오: "닷컴" 붐과 같은 상황을 가정합니다: 주요 국가(특히 미국)가 업계 규제를 완전히 명확히 하고, 대규모 기관과 기업이 업계에 진입하며, 암호화폐가 널리 사용됨(예: DeFi의 규모와 채택률이 급증함). 자산 가격이 치솟고(예: ARK Invest의 장기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를 돌파할 수 있음), 글로벌 시가총액이 연간 20% 이상 성장하며, 거래량이 연간 최대 25%까지 증가합니다. 이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총 거래량은 600~800조 달러에 달할 수 있으며, 코인베이스와 같은 거대 컴플라이언스 업체들은 폭발적인 성장으로 막대한 수익을 거두며 업계의 상한선이 급격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관적 시나리오: 불리한 거시 환경 또는 심각한 규제 제약(예: 주요 국가의 심각한 규제, 장기간의 암호화폐 자산 침체)이 발생한다고 가정합니다. 산업 규모가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소폭 성장하거나 심지어 한 해가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거래량 증가율이 연간 한 자릿수로 떨어지거나 심지어 정체 및 퇴보하여 2030년까지 총 거래량은 여전히 100~150조 달러에 머물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인베이스와 같이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소의 시장 점유율은 증가하겠지만(회색 플랫폼의 퇴출이 억제되거나 규제 강화로 점유율이 줄어들면서) 절대적인 사업 규모 성장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으로는 향후 5~7년 동안 암호화폐 거래 산업은 주기적인 변동 속에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체 산업 규모는 해마다 증가할 것이라는 다소 낙관적인 전망에 기울어져 있습니다. 암호화폐 사용자와 업계 컨소시엄은 여러 국가의 정치 세력에서 주목할 만한 세력이 되었으며, 2024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이 민주당을 전복하는 데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으로 꼽혔습니다. 그 이후로 민주당은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암호화폐 법안에 대해 훨씬 더 온건한 태도를 보였으며, 많은 의원들이 상원과 하원에서 통과된 Genius(상원) 및 Clarity(하원)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4. 사업 및 제품 라인
코인베이스는 주요 수익원을 거래와 구독 및 서비스로 나누고 여러 제품 라인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각 주요 비즈니스의 모델, 핵심 지표, 매출 기여도, 수익성 및 향후 계획에 대한 개요입니다.
거래 중개(소매 거래):
코인베이스의 초기이자 핵심 비즈니스입니다. 핵심 사업으로, 개인 사용자에게 암호화폐 자산 구매 및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코인베이스는 사용자가 앱이나 웹페이지를 통해 클릭 한 번으로 암호화폐를 사고 팔 수 있는 중개 및 집계 플랫폼 역할을 하며, 소매 거래에 대해 높은 수수료를 부과합니다(이전에는 거래 금액의 0.5%에 고정 수수료가 더해져 2022년 이후 스프레드와 단계별 요금으로 변경, 자세한 내용은 아래 PS 참조). 그 결과 과거에는 소매 고객이 회사 거래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 소매 거래량은 전체 거래량의 32%를 차지했지만 수익의 95%를 차지했습니다(2024년에는 54%로 감소). 핵심 지표에는 월 거래 사용자 수(MTU)와 1인당 거래량, 거래 수수료 수준이 포함됩니다. 2021년에는 1120만 MTU로 강세장이 정점을 찍었지만 2022~2023년에는 시장 침체로 인해 MTU가 700만까지 떨어졌습니다. 소매 트레이딩 비즈니스는 강세장에서 거래 수수료 수입이 높은 순이익을 견인하는 등 수익성이 높습니다(2021년 46%, 최근 1년간 42.7%). 그러나 약세장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이 사업의 수익이 급감(2022년 소매 거래 수익 - ~66% 전년 대비)하여 전체 수익성에 부담을 줍니다. 참고: 소매 고객 거래의 '스프레드'는 '원클릭 매수/매도/간편/전환/카드 지출' 거래 카테고리에서 부과되며 자산 호가에 암묵적으로 포함된 수수료를 말합니다 - 매수는 매수하는 가격보다 약간 높은 가격을 제시해 드립니다.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합니다. 고급 거래(대기/취식 주문)는 단계별 요금이 부과되며, 지난 30일 동안 거래량이 많을수록 메이커와 테이커의 요금이 낮아집니다.
향후 계획: 코인베이스는 코인베이스 원 멤버십 서비스(수수료 무료 크레딧 등 부가 가치 혜택을 제공)를 출시하는 등 사용자 고착도를 높이기 위해 소매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다음과 같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새로운 토큰을 업로드하고(2024년에 48개의 새로운 거래 자산(트래픽 유치를 위한 인기 있는 멤코인 포함), 사용자 경험을 개선(예: 더 간단한 인터페이스, 교육 콘텐츠)합니다. 또한 소셜 트레이딩 및 자동 투자와 같은 기능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회복됨에 따라 소매 거래는 여전히 수익의 초석이 될 것이며, 암호화폐 시장의 인기와 코인베이스 시장 점유율 상승에 따라 성장이 좌우될 것입니다.
전문 트레이딩 및 기관 중개: 이 부문에는 코인베이스 프라임과 코인베이스 프로(현재 통합 플랫폼으로 통합) 등 고액자산가 및 기관 고객을 위한 트레이딩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전문 플랫폼은 대규모 트레이더와 마켓 메이커를 유치하기 위해 높은 유동성, 낮은 수수료, API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기관은 거래량의 80~90%를 차지하지만(예: 2024년 총 거래량 9,410억 달러의 81%), 비율은 수십에서 천분의 1에 불과해 직접적인 수익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입니다(2024년 기관 거래 수익은 전체 거래 수익의 약 10%에 불과할 것입니다). 그러나 기관 비즈니스의 간접적인 혜택은 상당합니다. 기관은 코인베이스 커스터디에 많은 양의 자산을 보관하고 담보 등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커스터디 수수료, 이자 수입 등에 기여합니다. 또한 활발한 기관을 보유하면 플랫폼의 유동성에 기여합니다. 또한 활성 기관은 플랫폼의 유동성 및 호가 우위에 기여하고 소매 고객의 거래 경험을 용이하게 합니다. 핵심 지표 측면에서 기관 고객 수와 수탁 자산 규모(AUC)가 주요 초점입니다. 코인베이스의 AUC는 2021년 4분기에 2780억 달러에 달했다가 2022년 말까지 시장과 함께 803억 달러로 감소했다가 2023년 말까지 약 1450억 달러로 반등했으며, 기관 수탁 사업은 2025년까지 강력한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코인베이스의 평균 수탁 자산은 1분기에 전 분기 대비 250억 달러 증가한 2,120억 달러에 달했으며, 2분기에는 2,457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수익성 측면에서 기관 트레이딩 자체는 수익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지 않지만, 커스터디/파이낸싱과 같은 서비스에서 다른 수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향후 계획: 코인베이스는 기관의 포괄적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파생상품을 개발하고, 2023년 해외에서 영구 선물 상품을 출시하고, 브로커를 통해 미국에서 선물 위탁자 자격을 획득할 계획입니다. 또한 코인베이스는 미국에 선물 중개 회사를 설립하여 미국 기관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선물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코인베이스는 2023년 원리버 자산 관리 인수로 재편된 코인베이스 자산 관리 부서를 설립하여 기관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ETF 및 인덱스 바스켓과 같은 암호화폐 투자 상품을 발행할 계획입니다.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파생상품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2024년 말 세계 최고의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인 데리빗을 약 29억 달러의 현금 7억 달러와 코인베이스 클래스 A 보통주 1100만 주를 포함한 총 29억 달러 규모의 거래로 인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인수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인수 중 하나로, 업계 최고의 옵션 플랫폼인 데리빗의 2024년 거래량이 전년 대비 95% 성장한 1조 2천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 코인베이스의 입지와 규모를 빠르게 확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데리빗을 통합함으로써 즉시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옵션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데리빗은 비트코인 옵션 시장의 87% 이상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코인베이스의 파생상품 제품군(옵션, 선물, 무기한 계약 포함)을 더욱 확장하고 보완하며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는 기관이 선택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커스터디 및 지갑 서비스: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는 기관 투자자에게 콜드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업계 최고의 규정을 준수하는 커스터디 서비스입니다. 커스터디 비즈니스 모델은 커스터디 수수료(일반적으로 수탁 자산의 몇 베이시스 포인트에 해당하는 연간 수수료)와 인출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2024년 현재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는 전 세계 암호화폐 시가총액의 12.2%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의 평판은 특히 그레이스케일과 같은 대형 상품이 코인베이스를 커스터디 업체로 선정하면서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커스터디 사업은 규모는 작지만(1억 4,200만 달러, 한 해 총 수익 65억 6,400만 달러의 2.2%) 재무 결과에서 '구독 및 서비스' 범주에 통합되어 있으며, 커스터디는 고액 자산가 고객의 자산 안전을 보장하고 거래소에서 대규모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사업입니다. 또한 코인베이스의 지갑 서비스(코인베이스 월렛)는 자체 호스팅 지갑 애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수익을 창출하지는 않지만 생태계를 개선하고 디파이와 같은 온체인 거래 사용자를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호스팅 사업 자체의 마진이 높고(비교적 고정적인 보안 O&M 비용을 제외하면 거의 순수익),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트레이딩 사업과의 시너지 효과(2024년 4분기 호스팅 수수료 수익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4300만 달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수수료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구독 및 서비스 수익(약정, USDC 이자 등): 코인베이스가 최근 몇 년간 집중적으로 육성한 다각화된 수익 부문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스테이킹: 사용자는 자신의 암호화폐를 코인베이스에 맡기고 블록체인 스테이킹에 참여하여 블록을 보상받고, 코인베이스는 수수료(보통 USDC 정도)를 받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수수료(일반적으로 약 15%)를 받습니다. 플레징은 사용자에게는 소극적 수입을, 플랫폼에는 지분을 제공하며, 2021년부터 이더리움과 같은 주요 코인에 대한 플레징이 개방되면 플레징은 빠르게 증가할 것입니다.
스테이블코인 이자 수익(USDC): 최근 몇 년간 USDC 이자 수익은 코인베이스 수익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2023년에는 금리가 상승하고 USDC 준비금 규모가 커지면서 코인베이스는 USDC 준비금에 대한 이자 수익의 약 6.95%를 얻었습니다. 2023년, 금리가 상승하고 USDC 준비금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코인베이스는 USDC 준비금에서 약 6억 9,500만 달러의 이자를 창출했습니다(이는 해당 연도 총 수익의 약 22%에 해당하며 전년보다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2024년 코인베이스의 연간 USDC 관련 이자 수익은 USDC 시장 금리와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2023년 대비 31% 증가한 약 9억 1,000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USDC 이자 수익은 2024년 회사 총 수익의 약 14%를 차지하여 점유율은 감소했지만 절대 금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코인베이스의 2분기 실적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스테이블코인 이자 수익은 3억 3,300만 달러로 분기 수익의 22.2%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안정적인 이자 수입은 주로 코인베이스와 서클이 USDC 준비금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입을 50 대 50으로 나누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으로, 코인베이스 플랫폼에 저장된 USDC의 이자 수입은 100% 코인베이스에 귀속되므로 USDC 이자는 코인베이스의 구독 및 서비스 수익 부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가장 큰 단일 항목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 USDC 이자는 코인베이스의 구독 및 서비스 수익 부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가장 큰 단일 비즈니스가 되었으며 거래 수수료 외에 반복적인 수익원을 제공합니다.
2023년에 코인베이스와 서클은 양사가 공동 설립한 거버넌스 기구인 센터의 공동 운영 모델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여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했습니다. 먼저, 코인베이스는 처음으로 서클의 지분을 인수하여 소액 주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서클은 센터 컨소시엄의 나머지 지분 50%를 약 2억 1,000만 달러 상당의 주식으로 인수했으며, 그 대가로 코인베이스가 서클의 지분을 인수했습니다. 이 거래로 인해 코인베이스의 서클 지분은 증가했습니다(정확한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코인베이스는 재정적 이익과 발언권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 후 USDC의 관리 기관인 센터 컨소시엄은 해산되었고 USDC의 발행과 거버넌스는 서클에게 단독으로 이관되었습니다. 서클이 USDC 거버넌스를 완전히 인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코인베이스는 주요 주주이자 파트너로서 USDC 생태계에서 영향력이 증가했습니다. 새로운 계약에 따라 코인베이스는 주요 USDC 전략 및 파트너십과 관련하여 상당한 참여와 거부권을 갖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는 서클이 제안하는 새로운 USDC 파트너십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사의 이해관계가 USDC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이자 수익 분배와 같은 수익 공유 메커니즘의 조정은 양측의 USDC 홍보를 위한 인센티브를 더욱 강화합니다. 코인베이스는 USDC를 더 많은 블록체인에 적용하고, 국제 거래소 및 지갑 상품에서 USDC 혜택과 인센티브(예: USDC 보유 시 더 높은 수익률 등)를 제공하는 등 여러 이니셔티브를 통해 USDC 사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할 수 있었습니다. 요약하자면, 2023년 지분 투자 및 계약 조정은 코인베이스와 서클의 USDC에 대한 제휴를 크게 강화하며, 코인베이스는 지분 보유를 통해 USDC의 거버넌스에 깊이 관여하고 서클의 비즈니스에서 USDC의 인기를 전폭적으로 지원하여 이 준수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범위와 시가총액을 함께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기타 구독 서비스: 여기에는 코인베이스 적립(학습 콘텐츠 시청에 대한 보상), 코인베이스 카드 직불카드 처리 수수료 환급, 코인베이스 클라우드의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수익이 포함됩니다. 현재 규모는 작지만 통합 암호화폐 플랫폼 구축이라는 회사의 방향에 부합하는 비즈니스 시너지 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 클라우드는 조직과 개발자를 위한 노드와 거래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2024년에 여러 블록체인 프로젝트 네트워크가 가동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의 AWS'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구독 및 서비스 부문은 2019년 5% 미만이었던 매출 비중이 현재 40~50%까지 증가하여 거래 침체기에도 안정적인 수익원이 되고 있습니다. 총 마진 측면에서는 이자와 수수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낮은 비용으로 인해 90%에 육박합니다. 앞으로도 코인베이스는 사용 빈도가 높은 사용자를 위한 더 많은 구독 패키지를 출시하고, 담보로 지원되는 자산 유형을 확대하고, 미국 선물 거래의 증거금으로 USD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혁신을 포함하여 USDC의 글로벌 채택을 심화시키는 등 구독 비즈니스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이 부문은 트레이딩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한 중요한 '안정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탈중앙화 비즈니스: 베이스 레이어-2 네트워크
포지셔닝 및 비전. 비전: 베이스는 2023년 8월 코인베이스가 출시한 옵티미즘 OP 스택을 기반으로 하는 이더리움 L2로, 1억 명 이상의 코인베이스 사용자를 온체인 생태계로 원활하게 유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5년 1월 공식 로드맵은 "2025년 말까지 완전한 시퀀서 탈중앙화"와 커뮤니티 거버넌스를 통한 네트워크 수익 공유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주요 운영 지표: 2025년 8월 기준, 베이스 체인에 예치된 자산 가치는 약 154억 6천만 달러, 월 활성 주소 수 3,070만 개, 24시간 거래 924만 건, 24시간 온체인 수수료 20만 4천 달러로 전체 L2 중 수익 면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수익 기여도: 코인베이스는 베이스의 "시퀀서 수수료"를 "기타 거래 수익"으로 분류합니다. 2024년 베이스는 코인베이스의 수익에 약 8480만 달러를 기여합니다(토큰 터미널 데이터, 공식 재무 데이터). 2024년에 베이스는 코인베이스에 약 8,480만 달러(토큰 터미널 데이터, 공식 보고서에 공개되지 않음)를, 2025년에는 4,970만 달러를 기여할 것이며, 이는 거래 수수료와 이자 수입을 제외하고 코인베이스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은 "온체인 수익 엔진"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기타 잠재적 사업 분야: 코인베이스는 또한 이전 NFT 디지털 수집품 시장(코인베이스 NFT는 2022년에 출시되었지만 사용자 활동이 저조하여 2023년에 축소됨), 결제 및 판매자 도구와 같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투자), 결제 및 판매자 도구(코인베이스 커머스는 주로 전략적 배치로 판매자가 암호화폐 결제를 수락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등입니다. 이러한 비즈니스는 현재로서는 재정적 기여도가 제한적이지만 생태계를 완성하고 코인베이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의존도를 높이는 데 전략적으로 중요합니다.
코인베이스의 2024년 수익 구성과 점유율을 표로 살펴보세요:

비즈니스 및 제품 라인 섹션의 스냅샷
코인베이스의 2024년 수익 구성 및 점유율:
코인베이스의 비즈니스는 단일 거래에서 거래, 커스터디, 담보,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엔진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를 통해 거래 수수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2024년까지 비거래 수익의 40%)를 줄이고 고객 고착화(사용자가 플랫폼에 자산을 예치하여 이자를 얻고,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며, 마이그레이션을 덜 선호함)를 높일 수 있습니다. 거래는 자산 보유로 이어지고, 자산 보유는 다시 담보 및 이자 수익으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사용자의 더 많은 거래로 이어지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러한 '플라이휠 효과'는 코인베이스가 구축하고자 하는 해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코인베이스는 규제를 준수하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해 규제와 자원 투자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담보 및 대출은 증권법을 준수해야 하며, 스테이블코인은 투명한 보유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는 완벽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업계 최초로 종합적인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비교적 견고한 수익 구조와 성장 경로를 제공합니다.
5. 경영 및 지배구조
기업 경영 측면에서는 1. 경영진의 배경과 핵심 구성원의 안정성 정도, 2. 과거 전략적 의사결정 수준 등 여러 차원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5.1 핵심 경영진의 배경
Brian. 암스트롱 - 공동 창립자, 최고경영자(CEO), 이사회 의장으로 회사 의결권의 과반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1983년생으로 에어비앤비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2012년 코인베이스를 설립한 암호화폐 분야 최초의 기업가 중 한 명으로, 장기적인 미션과 제품 단순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암스트롱은 장기적인 미션과 제품의 단순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원칙을 고수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예: 2020년의 "정치 금지" 기업 문화 선언문).
Fred Ehrsam - 공동 창립자, 이사. 전 골드만삭스 외환 트레이더 출신으로 2012년 암스트롱과 함께 코인베이스를 공동 설립하고 초대 대표를 역임했습니다. 2017년 선도적인 암호화폐 투자 펀드인 패러다임을 설립하기 위해 일상적인 경영에서 물러났지만 이사로 남아 업계 동향과 회사 전략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lesia Haas - 최고재무책임자(CFO). 헤지펀드 오치-지프(현 코인베이스)의 CFO를 역임한 후 2018년 코인베이스에 합류했습니다. 헤지펀드 오치-지프(현 스컬프터 캐피탈)의 CFO와 원웨스트 은행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며 전통 금융과 자본 시장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후 2018년에 코인베이스에 합류했습니다. 그녀는 재무 규율을 강조하며 기업 공개를 위한 재무 준비를 이끌었고, 비용 절감을 위해 2022년에 두 차례의 정리 해고를 과감하게 시행했습니다. 또한 하스는 코인베이스의 자회사인 코인베이스 크레딧의 대표로 암호화폐 대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에밀리 최 -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 2018년 사업 개발 담당 부사장으로 코인베이스에 합류했으며, 2020년 사장 겸 COO로 승진했습니다. 입사 전에는 코인베이스의 비즈니스 개발 담당 부사장이었습니다. 코인베이스에 합류하기 전에는 LinkedIn에서 M&A 및 투자를 담당했으며(슬라이드셰어 인수 등을 주도), 전략적 확장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코인베이스에서는 여러 기업 인수(Earn.com, Xapo Hosting, Bison Trails 등)와 해외 확장을 주도했으며 암스트롱 외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임원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또한 일상적인 운영 관리, 인재 관리 및 전략적 프로젝트 실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aul Grewal - 최고법률책임자(CLO) 2020년 입사한 그는 법률고문 겸 전 연방 판사 출신으로 Facebook에서 법률 고문으로 재직했습니다. Grewal은 2023년 SEC와의 법적 분쟁을 포함하여 코인베이스의 법률 및 규제 문제를 해결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의 팀은 규정 준수 및 정책 로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타 주요 임원: 최고 제품 책임자 역할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제품 개발을 이끌다가 2023년 초에 떠난 수로짓 차터지(전 구글 임원)가 맡았으며, 이후 제품 팀은 여러 부서장들이 이끌고 있습니다. 제품팀은 여러 부서장이 나눠서 이끌고 있습니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그렉 투사르 등이 맡아왔으며, 현재는 엔지니어링 임원들이 분담하고 있습니다. 최고 인사 책임자(CPO, 인사)인 LJ 브록은 채용 및 문화 구축을 담당하며, 회사의 문화 혁신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고 마케팅 책임자 케이트 루치(전 페이스북 마케팅 이사)는 실리콘밸리 기술 및 월스트리트에서 쌓은 다양한 경험을 코인베이스에 접목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경영진 구성: 젊고 기업가적인 창업자 + 전통적인 금융 및 기술 대기업 출신의 전문 관리자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 다양한 경영진은 코인베이스가 기술 혁신과 규정 준수 시행을 결합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경영진은 모두 상당한 주식 또는 옵션 인센티브를 보유하고 있으며, 암스트롱에게는 10년 내 회사 시가총액 돌파라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특별 CEO 성과 주식 인센티브 플랜이 있습니다.
5.2 인력 및 전략적 안정성
코인베이스는 인력 및 전략 측면에서 부침이 있었지만 대체로 일관성을 유지해 왔습니다.
임원 교체: 대부분의 핵심 창립 팀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암스트롱, 에르삼 이사회 멤버).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일부 임원이 퇴사했습니다. 전 최고 제품 책임자였던 Chatterjee는 2023년 초에 퇴사했고, 최고 기술 책임자와 최고 규정 준수 책임자 자리가 여러 차례 바뀌었습니다. 이직의 일부는 시장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2022년 약세장과 경기 침체로 인해 경영진의 규모가 축소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 암스트롱이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발표한 후 약 60명의 직원이 퇴직금을 수령했습니다(전 최고 인사 책임자 포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CEO, CFO, COO는 모두 수년간 재직하며 회사의 IPO를 이끌었고, 법무 책임자 역시 안정적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등 회사의 전반적인 고위직 유지율이 높습니다. 이는 경영진이 비교적 성숙하고 주요 직책에 큰 격변이 없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전략 방향의 일관성: 코인베이스의 핵심 사명(신뢰할 수 있는 암호화폐 금융 시스템 구축)은 창립 이래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업계가 발전함에 따라 전략적 초점은 조정되겠지만, 초기에는 비트코인 중개와 사용자 기반 확대, 그다음에는 암호화폐와 국제 시장 확대, 2020년 이후에는 소매 시장뿐만 아니라 기관을 육성하고 구독 수익을 늘려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를 달성하는 '두 다리'가 함께 나아가고 있다는 점은 비교적 명확합니다. 2018년, 2022년과 같은 시장 침체기에도 경영진은 새로운 상품에 대한 투자(예: 2018년 USDC 스테이블코인 출시, 2022년 NFT 플랫폼 및 파생상품 레이아웃 투자 등)를 고집하며 장기적인 암호화폐 트렌드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물론 수정할 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NFT 상품이 한파를 겪은 후 2023년에 리소스를 줄였고, 맹목적인 채용 확대로 인해 2022 회계연도에 약 2,100명(전체 인력의 약 35%)을 해고했으며, 경영진은 쓴 경험을 통해 배운 후 운영 효율성을 개선한 바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전략은 파괴적인 변화나 큰 실패 없이 잘 실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업계 발전과 일치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전략적 일관성: 예를 들어 회사의 주요 기술/시장 발전을 추적하여 코인베이스 전략의 일관성을 정량화하려고 하면 코인베이스가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주요 업계 동향을 잘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예: 2015년부터 이더(ether)를 지원했습니다).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는 2015년 초에 이더를 지원하고(스마트 컨트랙트 물결을 예상), 2018년에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했으며(규정을 준수하는 스테이블코인의 미래에 베팅), 2021년 선물 라이선스를 신청하고(파생상품 시장을 내다보고), 자립형 L2를 개발하는 등 이러한 결정은 후속 산업 발전과 매우 일치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이후 업계 발전과 매우 잘 맞아떨어져 경영진의 올바른 업계 판단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코인베이스는 2019~2020년 탈중앙화 금융 거래 붐의 배당금을 놓치는 등의 실수도 있었습니다(이후 베이스 개발을 통해 뛰어들기 전까지 DEX와 같은 탈중앙화 금융 시장을 포착하지 못함). 하지만 코인베이스가 규정 준수에 집중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의도적인 전략적 절충안일 수 있습니다.
5.3 전략적 역량 검토
경영진의 주요 의사 결정 성공과 실패의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적 성공: 초기 레이아웃 규정 준수 - 코인베이스는 창립 초기부터 규정 준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2013년에는 미국 금융범죄단속국(FinCEN) 등록 및 주 라이선스를 신청하는 데 앞장섰습니다. 이 결정은 현명한 선택이었음이 증명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나중에 매우 현명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경쟁사들이 규정 준수 문제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철수해야 했을 때 코인베이스는 규제 해자를 구축하고 미국 사용자들의 깊은 신뢰를 쌓아 미국 본토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습니다(코인베이스는 고객 자금 도난이라는 큰 사고가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성공 사례는 기업공개(IPO)의 타이밍으로, 경영진이 2021년 강세장의 정점을 포착하고 직접 상장함으로써 회사에 충분한 자본력과 브랜드 지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초기 투자자와 직원들이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팀 사기를 안정화시켰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2019년 자포의 기관 호스팅 사업을 인수하여 단숨에 세계 최대 암호화폐 수탁업체 중 하나가 된 코인베이스가 기관 시장에서 첫 번째 기회를 잡은 인수 전략이 있습니다. 이는 경영진의 전략적 비전과 실행 용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략적 실수:
과도한 확장으로 인한 정리해고
- 코인베이스의 인력은 2021년 상승장에서 약 1,700명에서 2022년 초에는 6,000명 가까이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현재는 3,700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 암스트롱은 직원 확장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고, 이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졌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했습니다. 2022년 시장이 냉각되면서 회사는 두 차례에 걸쳐 대규모 감원을 단행해야 했고, 이는 사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 다른 좌절은 새로운 NFT '마켓플레이스'의 저조한 성과였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오픈시의 성공을 재현하기 위해 2022년 4월 NFT 거래 플랫폼을 출시하는 데 자원을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늦은 진입과 차별화 부족, 그리고 NFT 시장의 전반적인 냉담함으로 인해 플랫폼의 월간 거래량은 오랫동안 낮은 수준을 유지했고, 회사는 운영을 거의 포기할 뻔했습니다. 일부 영역에서 경영진의 시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시장 조사에 편견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손실은 제한적이었고 제때 중단할 수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경영진은 훌륭하고 핵심 구성원이 안정적이며 전략적 판단이 업계 트렌드에 부합하여 큰 기회를 놓치지 않았습니다.
6. 운영 및 재무 성과
이 섹션에서는 회사의 수익성과 견고성을 평가하기 위해 코인베이스의 매출, 이익, 비용 및 대차 대조표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6.1 손익 계산서 개요(5년)
코인베이스의 수익 및 이익 실적은 '롤러코스터' 변동으로 암호화폐 시장 심리에 크게 의존합니다.
수익(매출): 2019년 총 수익은 5억340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비트코인 강세장이 열린 2020년에는 12억8000만달러(+140%)로 증가했고, 강세장이 본격화된 2021년에는 78억4000만달러(전년대비 +140%)로 치솟았다. 2022년에는 약세장으로 인해 매출이 31억 5천만 달러(-60%)로 급감했고, 2023년에는 29억 2천만 달러로 더 하락했다가 시장이 반등하면서 2024년에는 65억 6천 4백만 달러로 강하게 반등하여 2023년 대비 두 배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2025년 1분기 코인베이스는 2024년 말부터 강한 모멘텀을 이어가며 다음과 같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2025년 1분기에 전년 대비 24% 증가한 약 20억 3천만 달러의 총 매출을 달성하며 2024년 말의 강력한 모멘텀을 이어갔으며, 2025년 2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하여 분기 총 매출이 약 15억 달러로 2025년 1분기의 20억 3천만 달러에서 무려 26% 감소했습니다. 이는 주로 2분기에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이 16% 하락하고 투자자들의 거래 의지가 약해지면서 거래량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보시다시피 코인베이스의 수익은 여전히 시장 변동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기복이 심합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총 수익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여전히 약 14% 증가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지난 5년간 회사의 매출은 '롤러코스터' 형태의 변동성을 보였으며, 2019~2024년 매출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약 40%이지만 연간 변동폭은 최대 ±50% 이상이며, 2025년 상반기에도 강세장 폭등과 하락장 하락의 상황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수익(TTM) 추세, 2020.9-2025.6, 출처: seekingalpha
![]()
Coinbase. ="https://research.mintventures.fund/wp-content/uploads/2025/08/03.png">
코인베이스 연간 수익(예측 포함). 2020-2026, 출처: seekingalpha
수익 구조: 거래 수수료가 주요 수익원이었지만 점차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습니다.2021 2021년 거래 수익은 69억 달러로 약 87%, 2022년 거래 수익은 24억 달러로 77%, 2023년 거래 수익은 15억 달러로 52%, 2024년 거래 수익은 약 40억 달러로 약 61%로 반등했습니다. 이에 따라 구독 및 서비스 수익(약정, 이자, 에스크로 등)은 2019년 5% 미만에서 2023년 48%까지 상승했다가 2024년에는 35%(절대 금액 기준 23억 달러)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2025년 1분기 거래 수수료 수익은 12억 6천만 달러(전년 대비 +17.3%)로 분기 수익의 60% 이상을 차지했고,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은 6억 9천 8백만 달러(전년 대비 +37%)로 전체의 3/4에 달했습니다.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은 6억 9,8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로 전체 수익의 30% 이상을 차지했으며, 주로 스테이블코인 USDC의 이자 수익 증가와 구독 상품 '코인베이스 원' 구독자 증가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2015년 2분기 거래 수익과 구독 수익은 나뉘어 거래 수수료 수익이 약 7억 6,430만 달러로 전체 수익의 약 54%를 차지했으며,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6억 5,58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구독 및 서비스 수익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6억 5,58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수익의 약 46%로 증가하여 거래 수익 규모에 거의 근접했습니다. USDC 이자 및 커스터디 비즈니스가 구독 부문의 성장을 견인했으며, 2분기 평균 USDC 적립금 잔액은 138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3% 증가하여 회사에 안정적인 통화 이자 수입을 크게 기여했습니다. 한편, 플레지 비즈니스와 기관 수탁 수수료는 견조하게 성장했으며 코인베이스 구독 수익은 계속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구독/서비스 수익은 2025년 상반기에 이미 회사 전체 수익의 약 44%를 차지했으며 이는 2024년 전체 35%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코인베이스의 사업 다각화 추세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익 믹스의 변화는 거래 수수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 높은 시장 변동성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수익: 고수익 비즈니스 모델의 이점을 바탕으로 거래량이 많을 때 코인베이스의 수익성은 매우 높습니다. 2019년에는 여전히 0.03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지만 2020년에는 3억 2,200만 달러의 순이익(순이익률 25%)을 달성했으며 2021년 순이익은 다음과 같이 상승했습니다. 2021년에는 순이익이 36억 2,400만 달러(순이익률 약 46%)로 상승하여 전년도를 모두 합친 것보다 수익성이 높았으며, 2022년에는 26억 2,500만 달러(순이익률 -83%)의 대규모 손실로 사상 최악의 해를 보였으나 2023년에는 9500만 달러(순이익률 3%)의 작은 이익으로 다시 플러스로 전환되었고, 2024년에는 25억 7,900만 달러(순이익률 ~39%)로 2021년 다음으로 정점을 찍은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코인베이스의 손익은 매출에 따라 크게 변동합니다. 1분기 순이익 6,600만 달러는 전 분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주로 1분기 암호화폐 자산의 공정가치 하락, 주식 인센티브, 소송 비용 등에 기인합니다. 세후 암호화폐 투자 공정가치 손익과 기타 일회성 항목을 조정하면 분기 순이익은 5억 2,700만 달러로 핵심 운영 실적을 더 잘 반영합니다. 이는 핵심 운영 실적을 더 잘 반영하는 수치입니다. 반면, 2025년 2분기 코인베이스의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4억 2,900만 달러(2024년 2분기 순이익은 3,600만 달러에 불과)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순이익률은 약 95%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례적으로 높은 수익은 대부분 비반복적인 수익에 힘입은 것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Circle에 대한 전략적 투자 재평가로 15억 달러와 암호화폐 자산 포트폴리오에 대한 3억 6,200만 달러의 수익을 이번 분기에 인식했습니다. 이러한 일회성 이익을 제외한 2분기 조정 순이익은 약 3,300만 달러(조정 순이익은 두 가지 비반복적 이익을 더하기 위해 약 4억 3,800만 달러의 세금이 부과됨)에 불과했으며, 이는 거래량 감소로 인해 핵심 비즈니스의 수익성이 크게 약화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2025년 1분기의 5억 2,700만 달러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수익은 매출에 따라 큰 폭으로 변동하고 있으며, 성수기에는 순이익이 매출의 30~40% 이상에 달할 수 있는 반면, 저수기에는 엄격한 수수료 통제 없이는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 큰 손실을 기록한 후 직원과 비용을 줄임으로써 2023년에 빠르게 손익분기점을 회복한 것은 비용 유연성과 운영 탄력성이 어느 정도 있음을 보여줍니다.
비용 구성: 비용 측면에서 코인베이스의 비용은 주로 운영 비용(연구 개발, 판매 및 일반 관리)으로 구성되며, 직접 거래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판매 및 마케팅 비용은 정기적으로 10% 미만을 차지하며, 2022년 이후에는 마케팅 투자가 더욱 억제되어 5% 미만으로 축소됩니다. R&D와 G&A는 2021년 기업공개 시 주식 개혁을 위한 일회성 비용, 2022~2023년 연간 3억~5억 달러의 지속적인 주식 지출(직원 옵션) 등 상당한 주식 인센티브 지출을 포함하여 약 20~30%를 차지합니다. 비용 비율(영업비용/매출액)은 강세장에서는 크게 희석되었지만(2021년 약 22%), 약세장에서는 급증(2022년 100% 이상)했으며, 인력 감축 이후 2023년 70%로 다시 낮아졌고, 2024년부터는 비즈니스 요구에 맞는 인력 및 프로젝트 투자로 비용 통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에 대규모 데이터 유출 사고가 발생하여 약 3억 7천만 달러의 소송 및 보상 비용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같은 분기 총 운영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5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이 일회성 항목을 제외하면 핵심 운영 비용은 오히려 감소 추세를 유지했습니다). 한편, 주식 기반 보상(SBC) 비용은 여전히 비용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2~2023년 SBC 비용은 연간 약 3억~5억 달러가 될 것이며, 2025년 2분기 SBC 비용은 이미 1분기 대비 3% 증가한 1억 9,6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러한 추세로 볼 때 연간 SBC는 7억 달러를 초과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수수료 구조는 더 유연하고 시장에 따라 인력과 프로젝트 지출을 조정할 수 있지만, 주식 인센티브의 희석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6.2 수익성 및 효율성(5년)
코인베이스의 수익성 및 운영 효율성을 여러 비율로 평가:
총 마진:총 마진은 거래 수수료 비즈니스의 높은 수익성 특성을 반영하여 오랜 기간 동안 80-90%의 높은 수준을 유지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매출 총이익률은 약 88%, 2022년 약 81%, 2023년 매출 총이익률은 감소했지만 수익 구조에서 이자 비중이 높아 해당 비용이 없어 84%로 상승, 2024년 85%, 2025년 2분기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매출 총이익률은 여전히 약 83%입니다. 이는 코인베이스가 시장에 관계없이 모든 수익의 상당 부분을 매출 총이익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동종 업계에서 선두주자임을 시사합니다(기존 증권 중개업체의 매출 총이익이 50~60%인 것과 비교하면).
순이익: 2021년에는 가장 수익성이 높은 기술 기업과 비슷한 46%, 2022년에는 -83%로 심각한 손실, 2023년에는 다시 3% 플러스로, 2024년에는 39%, 2025년 2분기 조정 순이익은 비순환 항목 이후 약 2%에 불과했습니다. 2025년 2분기 조정 순마진은 일회성 항목을 제외하면 약 2%에 불과합니다. 평균적으로 코인베이스는 정상/호황 시장에서는 순 마진이 30~40%에 달하는 강력한 수익 레버리지를 가지고 있지만, 경기 침체기에는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적시에 비용을 절감해야 수익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ROE/ROA: 수익 변동성으로 인해 자기자본수익률(ROE)과 총자산수익률(ROA)의 변동이 큽니다. 2021년 ROE는 60% 이상(높은 수익성과 IPO로 인한 제한된 NAV 확대), 2022년은 마이너스입니다. 2021년 ROE는 60% 이상(높은 수익성과 IPO로 인한 순자산 확대 제한), 2022년 마이너스 -40%, 2023년 2% 미만, 2024년 다시 상승하여 약 25%로 증가합니다. 자산 수익률의 경우, 총자산순이익률(ROA)은 2021년 ~20%, 2024년 ~15%로 대차대조표 확장에 따라 효율성이 약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수익성 있는 해의 ROE는 기존 금융 회사보다 훨씬 높지만 안정성은 떨어집니다.
1인당 효율성: 인원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수익/직원 기준으로 효율성을 측정합니다. 2021년 강세장에서는 비즈니스 호황으로 인해 1인당 연간 수익이 190만 달러에 달했고, 2022년에는 직원당 50만 달러 미만으로 급락했으며, 2023년에는 정리해고 이후 직원당 80~100만 달러로 반등했습니다. 2022년에는 1인당 50만 달러 미만으로 급락했고, 2023년에는 해고 이후 1인당 80만~100만 달러로 반등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금융기관의 1인당 수익 수준인 중상위권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디지털 플랫폼 모델의 규모의 경제를 보여줍니다. 향후 적정 인력 수준(현재 약 3,700명)에서 1인당 수익은 약 100만 달러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슈퍼 불마켓이 반복될 경우 이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거래 금융기관의 1인당 수익 비교(2024년)
6.3 현금 흐름 대 자본 지출(5년)
코인베이스의 영업 현금 흐름은 비슷하게 주기적이지만 대체로 긍정적입니다.
영업 활동 현금 흐름: 2021 OCF 2021년 OCF는 고객 거래 급증에 따른 예치금으로 인해 연간 영업활동순현금 유입액이 약 100억에 달해 매우 견조했으며, 잉여현금흐름은 그 해에 급격히 플러스였습니다. 2022년에는 손실과 운전 자본의 변화를 반영하여 약 20억의 영업현금 유출이 있었습니다. 2023년에는 비용 절감과 이자 수입으로 약 5억 2천만 달러의 플러스 영업현금흐름으로 복귀했습니다. 재무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에는 전년 대비 25억의 연간 순 현금 유입으로 OCF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연간 운영 현금 유입액은 25억 달러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며 OCF가 급증했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수익 회복과 고객 자금의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투자 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 코인베이스는 자산이 많은 회사가 아니며 자본 지출(CapEx)이 적습니다. 주요 투자는 인수와 플랫폼 R&D 투자입니다. 2019~2021년 CapEx는 연평균 수천만 달러(서버, 사무실 등)에 불과하지만 2022년에는 약 1억 5천만 달러로 증가합니다(사무실 건물 매입 및 데이터 센터 확장). 2023년에는 다시 약 5천만 달러로 감소합니다. 인수 측면에서는 2021년경에 더 많은 현금을 지출하고(예: Bison Trails, Skew 등 총 1억 달러 규모), 2022~2023년에는 인수가 둔화됩니다. 2024년에는 One River Asset Management와 같은 소규모 인수를 단행합니다. 전체 투자 현금 흐름은 순유출이지만 규모가 크지 않고 본업의 현금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2024년 말에서 2025년 초에는 파생상품 거래소인 Deribit을 총 거래 가격 약 29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는데, 약 0.7억 달러의 현금 지급(잔금은 약 1100만 주를 발행하는 형태로 지급)이 포함되었습니다.
잉여 현금 흐름: 자본 지출을 제외한 영업 현금을 고려할 때 코인베이스의 잉여 현금 흐름은 2021년에 97억 달러, 2022년에 마이너스, 2023년에 약 4억 달러, 2024년에 25.6억 달러로 매우 인상적인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인베이스는 잉여 현금을 안전자산(단기 국채 등)을 매입하거나 일부 암호화폐 자산을 보유하는 데 투자합니다.
자금 조달 현금 흐름: 2021년에는 전환사채와 회사채를 통해 약 32억 5천만 달러를 조달했으며, 동시에 기업공개(IPO)에서 신주를 발행하지 않았습니다(직상장을 위한 자금 조달 없음). 2022년에는 큰 자금 조달이 없었으며 2023년 코인베이스는 할인 매입한 채권 일부를 환매 또는 정산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2023년에 코인베이스는 이자 비용을 줄이기 위해 4억 1,300만 달러의 채권을 할인된 가격에 매입하여 자발적으로 채권의 일부를 재매입하거나 소멸시켰습니다. 코인베이스는 배당 계획이 없으며, 주식 인센티브를 헤지하기 위해 2022년 말과 2023년에만 소량의 주식 환매를 실시했습니다. 전반적인 재무 정책은 보수적이고 신중합니다.
현금 보유액: 2025년 코인베이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올해 1분기에 99억 달러에 달했으며, 올해 2분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75억 3900만 달러로 크게 감소했지만 여전히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6.4 대차대조표 견고성(5년)
코인베이스의 대차대조표는 높은 유동성과 낮은 레버리지로 비교적 견고합니다.
class=" list-paddingleft-2">부채 수준:코인베이스는 2021년 강세장에서 2026년 만기 12.5억 달러의 전환사채와 2028년과 2031년 만기 20억 달러의 선순위 채권을 두 차례 발행했습니다. 따라서 장기 부채는 32억 5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습니다. 2022~2023년에는 추가 부채를 발행하지 않으며, 2023년 말에 채권을 상환/환매하면 부채는 28억 달러로 감소합니다. 2024년 조정 EBITDA는 ~33.5억 달러로 순부채/EBITDA는 ~0(순현금 케이스) 또는 총부채/EBITDA는 0.9배로 매우 낮은 레버리지가 예상됩니다. 전반적인 부채 비율은 IPO 이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2024년 현재 은행 대출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부채는 모두 공개 시장 채권으로 인출 위험이 없고 만기가 앞당겨지며 단기 부채 상환 부담이 낮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동성: 코인베이스는 매우 높은 당좌비율로 막대한 양의 현금과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고객 예금 부채(고객 자산에 상응하는 고객 관련 부채)를 제외하면 회사의 핵심 운영 수준인 유동 자산이 유동 부채보다 훨씬 높으며, 현금 자금은 모든 단기 부채를 3배 이상 충당할 수 있는 3.19배 이상의 당좌 비율(고객 관련 제외)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USDC 준비금이 유동성이 높다는 점(매일 1:1)과 2023년 짧은 USDC 디앵커링 이벤트 이후에도 유동성 부족 없이 고객 상환을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산 품질: 자산은 주로 현금, 등가물 및 단기 투자(신용등급이 높은 채권 등)가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보유 암호화폐 자산의 규모는 크지 않으며, 25년 2분기 보유 암호화폐 자산의 공정가치는 18억 3,900만 개로, BTC 11776개 12억 6,100만 개(68.6%), ETH 136782개 3억 4,000만 개(18.5%), 기타 암호화폐 자산 238만 개(12.9%)로 구성돼 있습니다. 회사 순자산 대비 상대적 규모는 가격 변동이 지급 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더라도 관리 가능한 수준입니다.
전반적으로 코인베이스의 재무 안전성은 높은 편입니다: 낮은 레버리지와 풍부한 유동성, 여러 스트레스 테스트를 견뎌냈습니다. 동시에 탄탄한 대차대조표 덕분에 코인베이스는 2022~2023년 산업 침체와 같은 시장 침체기에 역주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R&D 투자와 해외 확장을 유지하여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6.5 피어 비교
코인베이스의 재무 지표를 다른 상장 또는 유사 거래 플랫폼과 비교한 24분기 및 25분기 실적입니다.
비교 대상은 Robinhood, 크라켄, 바이낸스입니다:
Robinhood(미국 브로커리지), 크라켄, 바이낸스입니다. Robinhood(미국 기반 브로커리지 및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2024년 순매출은 전년 대비 58% 증가한 29억 5,100만 달러, 순이익은 14억 1,100만 달러(2023년 손실 5억 4,100만 달러)로 사상 첫 연간 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고금리에 따른 이자 수익과 트레이딩의 반등에 힘입어 Robinhood의 2024년 총 마진은 94%, 순 마진은 48%에 달했습니다. 2025년 1분기 매출은 9억 27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 순이익은 3억 36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실적 개선에 힘입어 2024년 말부터 Robinhood의 주가는 급격히 상승하여 현재 시가총액은 950억 달러가 넘습니다.
Kraken(구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비상장): 2024년 거래량 급증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한 15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습니다. 해당 연도의 조정 EBITDA는 약 4억 달러이며, EBITDA 마진은 25%~30% 범위입니다. 2024년 말 기준 크라켄의 플랫폼 자산은 428억 달러, 월간 활성 유료 사용자 수는 250만 명, 사용자당 연평균 수익은 700달러 이상입니다. 2025년 1분기 크라켄의 매출은 4억 7,200만 달러(전년대비 +19%, 전분기 대비 7% 소폭 감소)였으며 2분기 매출은 전년대비 -13% 감소한 4억 1160만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비상장 기업인 크라켄의 최근 기업 가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21년에 100억 달러 이상의 가치로 100억 달러 이상의 자금 조달을 모색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이브의 사모펀드 거래 플랫폼에서 크라켄의 주가는 42.80달러로 지난 3개월 동안 두 배 가까이 상승한 약 91억 달러의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2024년 매출이 두 배가 된다는 것은 실제 사업 규모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코인베이스나 로빈후드와 같은 다른 상장사보다 낮은 매출 배수로 평가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Binance(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비상장): 업계 리더인 바이낸스의 거래 규모와 사용자 기반은 동종 업체를 훨씬 뛰어넘습니다. 재무 정보는 정기적으로 공개되지 않지만 이전 업계 분석에 따르면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40% 증가한 168억 달러로, 같은 기간 코인베이스 매출의 약 2.7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이낸스는 2022년에 120억 달러 이상의 매출과 100억 달러에 가까운 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인상적인 수익성과 사업 규모(마진율 최대 80%)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바이낸스는 상장되지 않았습니다.) 바이낸스는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공개된 시가총액이나 밸류에이션 배수는 없지만, 매출과 수익 규모를 고려할 때 낮은 밸류에이션 계수를 적용하더라도 내재 시가총액은 수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규제 환경 측면에서 바이낸스는 미국,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규정 준수 압박과 소송 문제에 직면하여 향후 성장과 잠재적 IPO 전망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바이낸스는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절대적인 규모에서 업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코인베이스와 같이 규제를 준수하는 상장 플랫폼은 규제 투명성 및 비즈니스 모델 차이와 연관된 밸류에이션 수준(예: 주가매출비율, EV/EBITDA 배수 등)에 대한 시장의 높은 신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와 로빈후드의 25년 2분기 데이터를 다시 비교해 보겠습니다:

전체적으로 두 회사는 수익 및 기타 지표 측면에서 비교적 비슷하며, 시가총액은 Coinbase가 798억 달러, Robinhood가 105억 달러로 비슷합니다. 코인베이스의 수익은 거래 + 구독/커스터디/스테이블코인/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반면, 로빈후드의 수익은 중개 수수료 + 이자 수입(은행에 예치된 사용자 자금에 대한 스프레드 + 이자 + 금융 수입 창출) + 구독/옵션/암호화폐에서 발생합니다. 트레이딩. 최근 몇 년 동안 Robinhood의 플랫폼은 자산과 사용자 측면에서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Bitstamp를 인수하여 미국 및 전 세계에서 Coinabase의 직접적인 경쟁자가 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코인베이스의 재무 성과는 고성장, 변동성이 큰 업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만, 코인베이스는 우수한 비용 관리와 견고한 대차대조표 덕분에 경기 침체기에도 강점을 유지하고 호황기에도 우수한 수익성을 달성해 왔습니다. 이러한 회복력은 투자의 하이라이트이자 리스크이기도 합니다. 향후 암호화폐 시장이 계속 개선된다면 코인베이스는 2021년과 같은 수익성 정점을 다시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대로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다면 2022년 손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비용을 더 긴축해야 할 것이며, 지금까지는 강세장에 다시 진입하더라도 인력을 줄이고 비용을 잘 통제할 수 있었습니다. 구독자 확장이 경기 순환의 영향을 완화하고 회사의 재무 성과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 수 있는지 여부에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7. 경쟁 우위와 해자
경쟁이 치열한 암호화폐 업계에서 코인베이스가 발판을 마련하고 리더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이 구축한 여러 해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브랜드 신뢰와 규정 준수 이점
코인베이스는 가장 먼저 규정 준수 트랙에 진입한 거래소 중 하나로서 강력한 브랜드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미국에서 주 라이선스(2013년 이후 46개 주/테리토리 송금업체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50개 주에서 합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음), FinCEN 등록, 뉴욕 신탁 라이선스를 취득한 몇 안 되는 거래소 중 하나이며, 설립 이후 사용자 자산에 큰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통해 코인베이스는 특히 마운트곡스, FTX와 같은 동종업체의 몰락과 여러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의 도난 이후 사용자들의 마음속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대규모 조직과 주류 사용자의 경우 코인베이스가 첫 번째 또는 유일한 선택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규제 당국의 제한으로 인해 많은 기존 펀드가 라이선스가 있는 거래 플랫폼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코인베이스가 자연스럽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습니다. 동시에 코인베이스는 규제 준수(KYC/AML 등)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 방식으로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좋은 평판을 얻었으며, 유리한 규제를 위해 로비 활동을 펼칠 수 있었습니다. 브랜딩과 규제 준수의 장벽은 후발주자가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복제하기 어렵습니다(라이선스 주기는 일반적으로 12~18개월이 소요되며 지속적인 자본 적정성, 자금 세탁 방지, 사이버 보안 등에 대한 연간 검사가 수반됨) - 신규 진입자는 모든 주에서 라이선스를 획득하기 위해 수억 달러의 준수 비용을 투자해야 합니다. 플랫폼은 기술적으로 경쟁력이 있더라도 규정 준수 승인과 다년간의 무사고 기록 없이는 단기간에 보수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초보 사용자 사이에서 코인베이스의 입지를 흔들기 어려울 것입니다. 코인베이스는 보안을 위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사용자들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점도 신뢰의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네트워크 효과와 유동성
거래소 사업에는 분명한 네트워크 효과가 있습니다. 더 많은 사용자와 거래량은 더 깊은 유동성과 더 나은 거래 경험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들이게 됩니다. 코인베이스는 수년간의 운영 끝에 거대한 글로벌 사용자 기반과 막대한 거래량을 확보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미국 내 암호화폐 보유자의 67%가 코인베이스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높은 커버리지 비율로 인해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업계의 '입구' 플랫폼이 되었고, 많은 사용자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새로운 코인과 프로젝트는 코인베이스 상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용자 수가 많다는 것은 거래 경험에 중요한 호가창과 작은 매도-매수 호가 스프레드를 의미합니다. 특히 가격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유동성이 풍부한 플랫폼이 가격 하락 없이 대규모 거래를 수용할 수 있어 전문 트레이더의 코인베이스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공고해집니다. 네트워크 효과는 입소문을 통해서도 강화됩니다. 사용자가 많을수록 추천 효과가 강해지고, 신규 사용자는 친구가 사용하는 플랫폼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져 긍정적인 순환을 만들어냅니다. 경쟁업체가 틈새 시장에서 극단적인 차별화(예: 수수료 무료 또는 특별 자산 지원)를 제공하지 않는 한 이러한 선순환을 깨뜨리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 코인베이스는 미국과 유럽에서 탄탄한 네트워크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 및 다각화된 비즈니스 고착화
코인베이스의 규모의 경제는 유동성 네트워크 효과뿐만 아니라 비용 우위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에도 반영됩니다. 상장 기업으로서 코인베이스는 시스템 보안, 제품 개발, 규정 준수 팀에 투자할 수 있는 충분한 자본을 조달할 수 있으며, 이는 거래 단위당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코인베이스의 운영 효율성은 고객 기반이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여 규모의 경제라는 해자를 형성하는 반면, 소규모 플랫폼은 종종 값비싼 규정 준수 및 보안 투자를 감당할 수 없습니다. 동시에 코인베이스의 여러 사업 부문(트레이딩, 커스터디, 플레지, 스테이블코인 등)은 서로의 사용자 고착성을 강화하여 사용자는 코인베이스에서 거래할 뿐만 아니라 코인을 예치하여 이자를 받고, 플레지에 참여하여 수익을 얻고, USDC를 사용하여 결제하는 등 동일한 플랫폼에서 여러 요구가 충족되고 마이그레이션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기술 및 보안 장벽
거래에 대한 기술적 문턱은 하이테크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코인베이스는 높은 통화 통합, 지갑 보안 및 멀티 체인 지원 측면에서 자체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수년간의 축적을 바탕으로 특정 기술 장벽을 형성했습니다. 거래 엔진은 강세장의 정점(예: 2021년 일일 거래량 수백억 달러)에서 테스트를 거쳤으며, 극심한 거래 급증도 처리할 수 있는 안정성을 갖추고 있으며, 지갑 보안 측면에서는 지금까지 대규모 해킹이 발생하지 않아 동급 경쟁사에서도 주장하기 어려운 기록입니다(코인베이스도 수억 건의 도난 기록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코인베이스는 의심스러운 거래 분석 및 모니터링, 시세 조작 방지 도구, 전문 API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내부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관과 파트너에게 안정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어느 것도 단기간에 복제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특히 보안 및 위험 관리 수준에서 심각한 취약점이 하나라도 있는 새로운 플랫폼은 평판에 타격을 입을 수 있는데, 코인베이스는 수년간 보안에 투자하여 사용자들의 마음에 장벽을 구축했습니다.
해자 지속 가능성 논의
상기의 해자는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까요? 각 항목을 평가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