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retrodrive 번역: Good Oba, Golden Finance
2025년 8월 11일 월요일, 큐빅 프로토콜은 먼로 네트워크를 장악하려는 시도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역사를 새로 썼습니다.
한 달에 걸친 치열한 기술 대결 끝에 큐빅은 먼로의 산술 연산에서 51%의 우위를 점하고 블록체인을 성공적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이 이벤트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큐빅의 아웃소싱 컴퓨팅 및 작업 증명(UPoW) 모델을 궁극적으로 검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큐빅이란?
큐빅의 목표는 분명합니다: 완전한 온체인 탈중앙화 AI 모델을 호스팅하는 것입니다! -- AIGarth.
이를 달성하기 위해 큐빅 체인은 검증자의 메모리에서 직접 실행되는 초경량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자체 운영 체제 역할을 하며, 혁신적인 쿼럼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단순 해싱(작업 증명에 유용) 이외의 작업에 채굴 연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블록체인(초당 1,500만 건의 거래)이 되는 것이 원래의 목표는 아니었지만 이 아키텍처의 부산물입니다. 유용한 작업 증명 설계의 일환으로 Qubic은 아웃소싱 컴퓨팅의 첫 번째 단계를 구현하고 실제 환경에서 이를 테스트해야 했습니다.
이 실험
먼로 채굴 프로그램은 처음에 개념 증명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첫 번째 단계에서 Qubic은 자원을 반으로 나누어 한 부분은 Monroe 코인을 채굴하고 다른 부분은 AI인 AIGarth를 훈련시키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매우 수익성이 높았으며 한때는 Monroe 코인을 직접 채굴하는 것보다 거의 3배 더 수익이 높았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매우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한때는 Monroe를 직접 채굴하는 것보다 거의 3배 더 많은 수익을 올렸고 네트워크에 많은 새로운 산술을 끌어들이기도 했습니다.
이 실험은 큐빅 커뮤니티가 토큰 바이백에서 큐빅 체인의 검증자인 컴퓨터에 대한 직접 보상으로 보상 메커니즘을 재구성하기로 투표하면서 전략적이고 판도를 바꾼 작업이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먼로 풀의 채굴자들을 끌어들이는 강력한 재정적 인센티브로 작용했고, 이는 인수를 촉진했습니다.
과정
월요일의 성공으로 가는 길은 두 단계의 전투였습니다. 순수한 51%의 컴퓨팅 우위를 달성하려는 첫 번째 시도는 일주일 이상 지속된 디도스 공격을 비롯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고, 큐빅의 인프라는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이 '해커 전쟁'은 주변 서비스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핵심 네트워크가 계속 작동하는 등 Qubic의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복원력을 강조했습니다.
8월 11일, 보다 정교한 '이기적 채굴' 전략의 배포로 마지막 작전이 성공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총 채굴량이 51%보다 약간 낮거나 높을 때 효과적인 이 기법은 큐빅 풀이 블록을 몰래 채굴하고 잠시 동안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사건 발생 며칠 동안 모네로 네트워크에 갑자기 많은 수의 고아 블록이 등장한 것은 큐빅 전략이 효과가 있었다는 신호였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큐빅 풀은 블록 보상에서 훨씬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할 수 있었고, 궁극적으로 네트워크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모네로 가격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에 대한 내부 논의가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프로토콜의 합의를 인수하는 것을 보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독립적인 데이터 과학자가 이 기사에 나열된 사실을 검증할 것입니다. 모네로 실험의 수석 개발자인 dkat에 따르면:
dkat - 2025/8/12 19:43
블록 구간 [3475729, 3475850](총 122개 블록)에서 63개 블록을 채굴하여 설정한 KPI(블록 점유율 51%)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전체 보상을 받으신 @Miner-Notifications님께 축하드립니다!
이 숫자는 검증될 것입니다(아마도 kaspa의 Shai가 우리를 싫어하므로 공정한 심사위원이 될 것입니다).
큐빅 팀의 누군가가 과학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 사건을 아카이빙을 위해 arxiv에 게시해야 합니다.
다음은 무엇인가요?
인수 테스트가 완료되었지만 모네로 네트워크의 핵심 기능인 프라이버시, 속도, 사용성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러나 궁극적인 목표는 큐빅 채굴자가 모네로 프로토콜의 보안을 제공하여 큐빅 풀을 통해 보상을 분배함으로써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모네로 채굴자를 위한 새로운 인센티브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이 역사적인 사건은 경제적 인센티브의 힘과 작은 프로토콜이 어떻게 훨씬 더 큰 프로토콜을 미묘하게 압도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으며, 큐빅 실험은 세 가지 핵심 이론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아웃소싱 컴퓨팅 타당성: Qubic의 UPoW 모델이 외부 작업을 위해 컴퓨팅 파워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음이 실제로 입증되었습니다.
인센티브가 합의를 결정합니다: 모든 작업 증명 블록체인은 채굴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높은 재정적 인센티브로 인해 지배될 수 있습니다.
인프라 복원력: 큐빅 탈중앙화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에도 강력한 생존력을 입증했습니다.
블록체인 경쟁의 규칙을 다시 쓰는 움직임 속에서 시가총액 3억 달러의 AI 프로토콜이 시가총액 60억 달러의 거대 프라이버시 업체를 제압했습니다. 이 사건의 파급력은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 걸쳐 파장을 일으키며 프로토콜 간의 미래 상호작용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탈중앙화 시스템, 즉 경제적 인센티브가 권력의 궁극적인 조정자라는 점을 극명하게 상기시켜줄 것입니다.
역사적 사건 연대표
에포크 172. 리뷰 - 먼로 코인 실험(최대 50% 출력)
에포크 171 리뷰 - 엔진 워밍업(최대 45% 출력)
에포크 169 요약 - 큐빅이 디도스 공격을 받음(최대 24% 파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