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루카스 슈바이거 출처: coindesk 번역: 굿오바, 골든파이낸스
전통 은행은 오랫동안 암호화폐와 디파이를 경계해 왔지만, 규제 당국의 규제와 규제 강화, 트레이딩 금융계의 거물급 인사들의 지지, 고객 수요 증가로 인해 암호화폐의 미래는 분명해졌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암호화폐를 '수용'하는 것만으로는 관련성을 유지하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은행은 적절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차세대 금융 인프라 개발을 지원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핀테크와 블록체인 산업은 은행 없이도 발전할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디파이 모델이 기존 모델을 대체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현재의 시장 인프라와 규제 안전장치는 기관 유동성과 고객 보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대신 두 영역의 교차 수정이 진정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은행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많은 은행이 암호화폐가 단순한 새로운 자산 클래스 그 이상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습니다. 은행에게는 암호화폐의 높은 수익률과 다각화 기회에 매력을 느끼는 고객을 유지하고 유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품 다양화: 은행은 차세대 암호화폐 네이티브 고객을 유치함으로써 현재 관리 중인 자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Pledge-as-a-Service: 은행은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기술 파트너와 협력하면 기관 및 소매 고객 모두에게 서비스형 약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토큰화: 실제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토큰화된 상품은 새로운 수익원을 제공하고 제한적인 시장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결제: 블록체인 기반 다중 자산 결제 네트워크는 은행이 많은 주요 업체들이 충족하기 어려웠던 T+1 결제 기준을 충족하고 초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뢰 - 은행의 가장 소중한 자산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시장에서는 많은 서비스가 기존 투자자들이 원하는 안정성과 보안이 부족하며, 은행은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2022년 FTX가 붕괴했을 때, 저희를 포함한 많은 투자자들이 안전한 피난처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 규제 기관으로 몰려드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격동의 시기에는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 사건이었습니다.
암호화폐 규제가 더욱 개선됨에 따라 더 많은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자금을 옮기게 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당연히 더 비싸더라도 안전하다고 느끼고 모든 혜택을 받기를 원할 것입니다.
CeDeFi - 가능한 시나리오
당분간은 DeFi 상품이 기존 상품과 계속 경쟁할 것이지만, 두 상품이 언젠가는 어느 시점에는 수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DeFi의 기술 구성 요소와 CeFi의 KYC 및 AML 요건을 활용하면 'CeDeFi' 기반 모델이 미래 금융의 가장 적합한 형식이자 기본 인프라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세계를 연결할 수 있고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 있는 금융기관(은행 등)은 진화하는 미래 금융 환경에서 많은 흥미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일찍 행동해야 합니다.
은행들은 DeFi의 역량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수익 기회를 제공하는 유연성,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혁신적인 금융 상품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트레이딩 파이 또는 탈중앙 금융은 금융 시스템 거버넌스와 고객 서비스 분야에서 수백 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관 및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 데 필요한 보호와 보호막을 제공합니다.